[장태민닷컴 장태민 기자] 최근 코로나19 신규 확진자수는 줄어드는 모습을 보였지만 사망자수는 줄지 않고 있다.
오히려 위중증 환자가 급증하는 가운데 하루 사망자수는 100명 가까운 수준으로 늘어났다.
위중증 환자와 사망자수는 역대 최고치를 경신했다. 전염병 상황이 다시 심각해진 가운데 정부의 조치도 주목을 받고 있다.
■ 최근 확진자수 줄었으나 위중증 환자 급증
12월 8일(0시 기준 데이터)부터 10일까지 코로나 일일 확진자수는 7,174명, 7,102명, 7,022명을 기록해 3일 연속 7천명을 넘어섰다. 이후 확진자수는 더 늘지 않고 줄어들었다.
11일 6,797명, 12일 6,688명을 기록한 뒤 13일엔 5,817명으로 줄었다. 이날 발표된 확진자수는 5,567명으로 좀더 줄어들었다.
확진자수는 일단 8일을 고점으로 줄어드는 모양새다.
하지만 상태가 심각한 위중증 환자는 늘어났다.
위중증 환자수는 이달 1일 723명으로 700명 남짓이었으나 8일 840명을 기록하면서 800명을 넘어서더니 14일엔 906명을 기록하면서 900명을 넘어섰다.
위중증 환자는 고유량(high flow) 산소요법, 인공호흡기, ECMO(체외막산소공급), CRRT(지속적신대체요법) 등으로 격리 치료 중인 환자를 뜻한다.
위중증 환자가 늘어나면서 일일 사망자수는 역대 최고를 경신했다.
■ 위증증 환자 늘면서 사망자 급증
일일 사망자수는 지난 11일 80명을 기록하면서 최고치를 경신한 뒤 12일과 13일엔 43명, 40명으로 줄어들었다.
하지만 14일 0시 기준 94명을 기록하면서 일일 사망자수가 역대 최고로 늘어났다.
이달 들어 현재까지 코로나 사망자수는 이미 11월과 비슷한 수준으로 올라갔다.
코로나 사망자수는 3차 확산기 때인 지난 겨울(올해 1월) 520명을 기록하면서 최고치를 기록했다. 이후 사망자수는 크게 줄어 6월과 7월엔 59명, 77명으로 줄어들었다.
하지만 지금은 하루 사망자수가 6~7월의 월 사망자를 넘는 경우도 발생하고 있다.
코로나 사망자수는 8월과 9월 190명, 196명을 기록한 뒤 10월엔 368명으로 크게 늘더니 11월엔 775명으로 1월(520명) 수준을 크게 웃돌았다.
그런 뒤 12월 들어선 14일 0시 기준으로 763명의 사망자가 발생해 11월 수준에 도달했다.
아직 12월의 절반이 남아 있는 상황에서 이달 사망자수는 1천명을 훌쩍 넘어설 것으로 보인다.
■ 정부 일단 하루, 이틀 더 보자...당국 조치 가능성
최근 코로나 확진자, 사망자가 급증하면서 특단의 방역 대책이 필요하다는 목소리도 커지고 있다.
정부도 사태가 심각하다는 점을 인지하고 있다.
박수현 청와대 국민소통수석은 14일 한 라디오에 출연해 "엄중한 시기에 정부의 대책이나 조치가 우물쭈물하거나 미진할 일은 없다"고 했다.
박 수석은 "상황에 맞는 조치는 준비돼 있지만 그 카드는 그 때의 상황에 따라 선택하게 된다"면서 수요일과 목요일 상황을 지켜보자고 했다.
상황이 여의치 않으면 주말을 정도에 엄중한 조치를 취할 수 있다는 뜻으로도 읽힌다.
정부는 가을부터 '방역과 민생' 중 '민생'에 무게를 두면서 정상적 생활로의 복귀를 노렸다.
이런 조치를 생각할 수 있었던 이유는 백신 접종자가 단시간에 80%를 넘길 정도로 국민들이 적극적으로 백신을 맞았기 때문이다.
하지만 백신 접종자가 80%를 넘어서도 코로나 확산세는 꺾이지 않았으며, 오히려 사망자 급증으로 이어졌다. 백신이 전염병을 차단하는 데 한계를 보인 것이다.
의료계 쪽에선 상황이 심각한 만큼 단계적 일상회복 조치를 멈추거나 되돌려야 할 필요성을 제기하고 있다.
단계적 일상회복을 '일단 멈춰야 한다'는 목소리들이 흘러나오고 있다.
보건의료노조 등 의료계 일각에선 "정부의 준비없는 위드코로나 정책이 한계를 드러내고 있다"면서 섣부른 위드코로나 정책 실패를 질타하기도 했다.
■ 방역 대책은 소상공인 고통 함수...보상 관련 논란은 계속
정부가 방역 조치를 강화하면 소상공인이나 자영업자들의 고통이 다시 커질 수 있다.
지난해부터 당국의 영업 제한으로 큰 불만이 쌓여있던 소상공인들은 정부의 위드코로나 정책에 따른 모임 확대 등으로 숨통을 틔우는 듯했다.
하지만 이 시기와 맞물려 코로나 확진자와 사망자가 급격히 늘어나는 등 방역 상황이 악화됐다.
정부로서는 상당히 난감한 상황에 직면해 있다. 내년 선거까지 걸려 있어서 다시 영업 제한을 크게 강화하는 것도 쉽지 않은 문제다.
소상공인 등에 대한 손실보상 이슈도 계속 진행 중이다.
방역을 강화해 영업을 다시 제한하게 되면 또다시 손실보상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현재도 정치권은 손실보상 문제로 티격태격하는 중이다. 여당에선 김종인 국민의힘 총괄선대위원장의 '손실보상 100조원' 발언을 거론하면서 지금이라도 추경을 편성하자는 목소리까지 나오는 상황이다.
우원식 민주당 의원은 이날 "여야 합의만 하면 100조원 규모의 소상공인 손실보상을 위한 추경이 12월 임시국회를 통과할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
어제부터 다시 방역패스가 시행하는 등 코로나 상황이 아직 엄중해지고 있다. 소상공인, 자영업자들의 상황은 다시 어려워질 수 있다.
우 의원은 "지난 2년간의 피해에 대해서도 자영업자들이 다 감내하고 왔다. 그래서 정부의 방역대책이 자영업 또 중소기업, 이런 분들의 일방적 희생만을 강요하면서 유지될 수는 없다. 김종인 위원장이 손실보상 100조를 얘기해서, 이건 여야 합의가 굉장히 중요하기 때문에 우리만 주장해선 되지 않는다. 야당의 대표 격인 분이 얘기를 했기 때문에 바로 그 논의를 시작하자"고 했다.
금융시장에서도 시기의 문제일 뿐 향후 추경 가능성이 높다고 보는 시각이 강하다.
증권사의 한 채권딜러는 "김종인 위원장의 정책은 민주당과 상당히 닮아 있다"며 "반은 민주당원이나 마찬가지인 그의 뜻대로 국민의힘이 움직일지 봐야 할 것 같다"고 말했다.
그는 "개인적으론 12월 추경은 현실적으로 어렵다고 본다. 다만 채권시장은 언제든 추경 논란이 계속될 수 밖에 없다는 점을 인지하고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