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태민닷컴 장태민 기자] 신한투자증권은 15일 "뱅크런은 일단 발생하면 쉽게 잊혀지지 않아 주식시장은 위험을 들여다 볼 것"이라고 전망했다.
김성환 연구원은 "신용 우려는 전염성이 있다"면서 이같이 밝혔다.
김 연구원은 "비록 미국 금융 시스템 펀더멘탈이 강해도, 어쨌든 뱅크런은 한번 터지면 대중에 깊게 인상을 남기며 쉬이 잊혀지지 않는다"며 "예금자들은 안전한 곳으로 예금을 이전하는 것을 재고해볼 수 있다"고 밝혔다.
그는 "지급준비금 부족, 미실현손실 인식 가능성이 큰 지역은행들은 몇 개 더 남아있다. 전체 시스템은 건전하나, 일부 취약은행에 대한 우려는 단번에 회복되기 쉽지않은 고리들"이라며 "과거 사례를 살펴보면, 우려가 한번 도지면 위험 프리미엄이 제자리로 돌아오는 데는 시간이 소요됐다"고 밝혔다.
미국에서 발발한 금융 시스템에 대한 우려는 저축대부조합 위기, LTCM 파산, 금융위기, 팬데믹 등을 꼽을 수 있다. 우려가 발발한 경우 리스크 프리미엄(VIX, 크레딧 스프레드)들은 최소 두 달 정도는 확대되는 과정을 거쳤다.
연준이 무제한적 개입을 선언한 팬데믹 정도가 예외였다.
김 연구원은 "금융시장은 실리콘밸리 뱅크런 이후 통화긴축 기대치를 크게 낮춰잡았다. 이는 밸류에이션에 일견 긍정적으로 보이나 주식시장 할인율에는 통화정책만 있지 않다"며 "실리콘밸리 뱅크가 시스템 리스크로 번질 개연성은 크지 않다고 보여지나, 과거 사례를 참고하면 시장은 1~2개월 가량 남아있는 부실 위험이 없는지 더 체
크하려 할 수 있다"고 내다봤다.
이는 리스크 프리미엄 경로로 주식시장에 부담을 줄 것이라고 했다.
장태민 기자 chang@changtaem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