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 기재부 "고용률과 실업률은 안정적 흐름 유지...취업자수 증가폭은 불확실성 확대"

2023-04-12 10:07:36

[장태민닷컴 장태민 기자]
2023년 3월 고용동향 분석


3월 고용지표는 양호한 흐름이 지속되고 있으며, 본격적인 일상회복에 따른 대면활동 증가와 기저영향 등으로 전월대비 취업자 수 증가폭이 확대되었다.

15세 이상 고용률(+0.8%p) 및 15~64세 고용률(+0.9%p)은 전년 동월대비 동반 상승하며 3월 기준 역대 최고 수준이었으며, 실업률(2.9%)은 △0.1%p 하락하여 3월 기준 역대 최저였다.

* 고용률(15세 이상, %): (‘21.3)59.8 … (‘22.3)61.4 (6)62.9 (9)62.7 (12)61.3 (’23.1)60.3 (2)61.1 (3)62.2

* 고용률(15~64세, %): (‘21.3)65.7 … (‘22.3)67.8 (6)69.1 (9)68.9 (12)68.5 (’23.1)67.8 (2)68.0 (3)68.7

* 실업률(%): (‘21.3)4.3 … (‘22.3)3.0 (6)3.0 (9)2.4 (12)30 (‘23.1)3.6 (2)3.1 (3)2.9

취업자수는 작년 기저(’22.3월 전년동월대비 83.1만명 증가, 연간 81.6만명 증가)에도 불구하고 +46.9만명 증가하였으며(25개월 연속 증가), 실업자수는 △3.4만명 감소하였다(24개월 연속 감소).

* 취업자 증감(전년동월비, 만명): (‘21.3)31.4 … (‘22.3)83.1 (6)84.1 (9)70.7 (12)50.9 (’23.1)41.1 (2)31.2 (3)46.9

* 실업자 증감(전년동월비, 만명): (‘21.3)3.6 … (’22.3)△34.2 (6)△20.5 (9)△5.2 (12)△11.3 (‘23.1)△11.9 (2)△6.4 (3)△3.4

전월대비 취업자수(계절조정)도 2개월 연속 증가하였으나(+9.4만명), 증가폭은 2월에 비해 축소하였다.

* 계절조정 취업자 증감(전월비, 만명): (‘22.3)△6.2 (6)△3.7 (9)△1.5 (12)△4.0 (’23.1)△2.7 (2)27.7 (3)9.4

숙박음식업・보건복지업의 취업자수 상승세 지속 등은 긍정적인 부분이나, 인구 감소(전년동월대비 △18.1만명)・기저효과 등에 따라 청년층 취업자가 감소한 점은 한계이다.

* 업종별 취업자 증감(‘23.2→3월, 전년동월비, 만명): (숙박음식)17.6→17.7 (보건복지)19.2→18.6

* 청년층 취업자 증감(전년동월비, 만명): (’22.3)17.7 (6)10.4 (9)1.6 (12)△2.5 (‘23.1)△5.1 (2)△12.5 (3)△8.9

* 청년층 인구 증감(전년동월비, 만명): (’22.3)△19.2 … (9)△20.8 (12)△21.1 (‘23.1)△18.9 (2)△19.1 (3)△18.1

향후 고용률・실업률은 안정적 흐름을 유지할 것으로 예상되며, 고용률은 전년대비 소폭 상승하고 실업률은 작년과 유사할 것으로 전망된다.

다만, 작년 이례적 호조(’22년 +81.6만명)에 따른 기저효과와 함께 글로벌 금융 불안 등으로 인해 향후 취업자수 증가폭은 불확실성이 클 것으로 예상된다.

정부는 관계부처 합동 「일자리 전담반(TF)」을 중심으로 고용동향을 지속 관리하는 한편, 일자리 미스매치 완화 노력 등을 통해 민간 중심의 고용창출 지원을 지속할 계획이다.

별첨 1

23.3월 고용동향 상세 분석


1

23.3월 고용동향 특징 및 평가


□ 고용률 62.2%(3월 역대 최고), 실업률 2.9%(3월 역대 최저),
취업자수 +46.9만명 증가


ㅇ 15세 이상 고용률(+0.8%p)·15~64세 고용률(+0.9%p) 동반 상승, 3월 기준 역대 최고 수준

* 고용률(15세 이상, %): (‘21.3)59.8 … (‘22.3)61.4 (6)62.9 (9)62.7 (12)61.3 (’23.1)60.3 (2)61.1 (3)62.2

* 고용률(15~64세, %): (‘21.3)65.7 … (‘22.3)67.8 (6)69.1 (9)68.9 (12)68.5 (’23.1)67.8 (2)68.0 (3)68.7

▪ 계절조정 15세 이상 고용률 및 15~64세 고용률도 모두 역대 최고 수준

* 고용률(15세 이상, %, 계절조정): (‘21.3)60.3 … (‘22.3)61.9 (6)62.2 (9)62.2 (12)62.0 (’23.1)62.0 (2)62.6 (3)62.7

* 고용률(15~64세, %, 계절조정): (‘21.3)66.1 … (‘22.3)68.2 (6)68.6 (9)68.7 (12)68.8 (’23.1)68.8 (2)68.8 (3)69.0

ㅇ 취업자수는 작년 기저(’22.3월 83.1만명, 연간 81.6만명)에도 불구하고, 전년 동월대비 +46.9만명 증가(1분기 평균 +39.7만명)

* 취업자 증감(전년동월비, 만명): (‘21.3)31.4 … (‘22.3)83.1 (6)84.1 (9)70.7 (12)50.9 (’23.1)41.1 (2)31.2 (3)46.9

▪ 전월대비 취업자수(계절조정)도 9.4만명 증가(2개월 연속), 다만 증가폭 축소

* 계절조정 취업자 증감(전월비, 만명): (‘22.3)△6.2 (6)△3.7 (9)△1.5 (12)△4.0 (’23.1)△2.7 (2)27.7 (3)9.4

ㅇ 실업자수가 △3.4만명 감소(24개월 연속)하며 실업률도 △0.1%p 하락

* 실업률(%): (‘21.3)4.3 … (‘22.3)3.0 (6)3.0 (9)2.4 (12)30 (‘23.1)3.6 (2)3.1 (3)2.9

* 실업자 증감(전년동월비, 만명): (‘21.3)3.6 … (’22.3)△34.2 (6)△20.5 (9)△5.2 (12)△11.3 (‘23.1)△11.9 (2)△6.4 (3)△3.4

ㅇ 경제활동참가율은 전년 동월대비 +0.8%p 상승

* 경제활동참가율(%): (‘21.3)62.5 … (‘22.3)63.3 (6)64.9 (9)64.2 (12)63.3 (‘23.1)62.6 (2)63.1 (3)64.1

취업자수 및 증감(만명, 전년동월비)
고용률(15세 이상) 및 실업률(%)
<svg:svg xmlns:svg="http://www.w3.org/2000/svg" xmlns:xlink="http://www.w3.org/1999/xlink" class="" preserveaspectratio="none" style="position:absolute;overflow:visible;left:0pt;top:0pt;width:100%;height:100%"><svg:g transform="translate(1.9995,1.9995)"><svg:path d="M 0 0 L 0 158 L 294 158 L 294 0 Z" fill="none"><svg:svg xmlns:svg="http://www.w3.org/2000/svg" xmlns:xlink="http://www.w3.org/1999/xlink" preserveaspectratio="none" viewbox="0 0 10000 10000" style="position:absolute;overflow:hidden;" x="0" y="0" width="294" height="158"><svg:image preserveaspectratio="none" x="0" y="0" height="10000" width="10000" xlink:href="20230412094200_63D2DD4E-9C1B-4D21-EEAB-A16050D71E74.hwpx.files/image5.wmf.png"><svg:svg xmlns:svg="http://www.w3.org/2000/svg" xmlns:xlink="http://www.w3.org/1999/xlink" class="" preserveaspectratio="none" style="position:absolute;overflow:visible;left:0pt;top:0pt;width:100%;height:100%"><svg:g transform="translate(1.9995,1.9995)"><svg:path d="M 0 0 L 0 158 L 294 158 L 294 0 Z" fill="none"><svg:svg xmlns:svg="http://www.w3.org/2000/svg" xmlns:xlink="http://www.w3.org/1999/xlink" preserveaspectratio="none" viewbox="0 0 10000 10000" style="position:absolute;overflow:hidden;" x="0" y="0" width="294" height="158"><svg:image preserveaspectratio="none" x="0" y="0" height="10000" width="10000" xlink:href="20230412094200_63D2DD4E-9C1B-4D21-EEAB-A16050D71E74.hwpx.files/image6.wmf.png">


□ 산업별로는 제조업 감소, 숙박음식업·보건복지업 증가 지속


ㅇ (제조업) 기저효과 및 생산·수출감소 등 영향으로 3개월 연속 감소, 감소폭 확대

* 제조업 취업자 증감(전년동월비, 만명): (‘22.3)10.0 (6)15.8 (9)22.7 (12)8.6 (’23.1)△3.5 (2)△2.7 (3)△4.9

▪ 다만, 반도체 등 전자부품제조업 취업자수 감소폭 축소 등으로 인해 전월대비 취업자수는 2개월 연속 증가, 증가폭 확대

* 제조업 취업자 증감(전월비, 만명, 계절조정.): (‘22.3)4.9 (6)1.6 (9)△0.9 (12)△2.0 (‘23.1)△6.7 (2)0.1 (3)2.7

ㅇ (서비스업) 마스크 착용의무 해제(3.20.) 등에 따른 대면활동 확대 및 직접일자리 조기집행 등으로 숙박음식업・보건복지업 중심 증가

* 취업자 증감(‘23.2월→3월, 전년동월비, 만명): (숙박음식)17.6→17.7 (보건복지)19.2→18.6

▪ 교육・예술스포츠업 증가, 운수창고업 취업자수 감소폭 축소 등도 서비스업 취업자수 증가폭 확대(2월 +38.0만명 → 3월 +50.0만명)에 영향

* 취업자 증감(‘23.2월→3월, 전년동월비, 만명): (교육)△0.3→0.8 (예술)2.8→3.2 (운수창고)△4.4→△1.0

▪ 정보통신업・전문과학기술업 취업자수 증가세 지속(25개월 연속 증가)

* 취업자 증감(‘23.2월→3월, 전년동월비, 만명): (정보통신)4.3→6.5 (전문과학기술)3.9→6.0

ㅇ (농림・건설업) 농림어업은 날씨(강수일수 감소) 등 영향으로 4개월 만에 증가, 건설업은 건설시공 증가에도 불구 기저효과로 인해 감소

* 농림어업 취업자 증감(전년동월비, 만명): (‘22.3)3.5 (6)8.9 (9)8.4 (12)△1.4 (’23.1)△4.7 (2)△4.4 (3)3.0

* 건설업 취업자 증감(전년동월비, 만명): (‘22.3)6.4 (6)5.0 (9)△1.2 (12)△1.2 (’23.1)△3.9 (2)△0.4 (3)△2.0

□ 인구영향 등으로 고령층 중심 취업자 증가, 청년층 감소


* 3월 연령대별 취업자 증감(전년동월비, 만명): (청년)△8.9 (30대)2.4 (40대)△6.3 (50대)5.0 (60세↑)54.7
↳ 인구 증감(전년동월비, 만명): (청년)△18.1 (30대)△9.3 (40대)△10.7 (50대)0.7 (60세↑)52.2

ㅇ (고령층) 인구 증가 및 경제활동참가* 확대 등으로 60세 이상 취업자 증가세 지속(26개월 연속)

* 60세 이상 경제활동참가율 추이(전년동월비, %): (‘22.3)0.5 (6)1.4 (9)1.3 (12)1.2 (’23.1)0.6 (2)0.9 (3)1.9

ㅇ (청년층) 고용률(46.2%)은 2개월 연속 전년대비 감소했으나, 여전히 3월 기준 2위(’00년 이후)로 과거에 비해 양호한 수준

* 15-29세 고용률(%): (‘22.3)46.3 (6)47.4 (9)46.6 (12)45.9 (’23.1)46.1 (2)45.5 (3)46.2 <△0.1%p>

▪ 실업률(7.1%)은 2월 소폭 증가 후 전년대비 감소로 전환(△0.1%)

* 15-29세 실업률(%): (‘22.3) 7.2 (6) 6.9 (9) 6.1 (12) 5.2 (’23.1) 5.9 (2) 7.0 (3) 7.1 <△0.1%p>

▪ 취업자수는 기저효과 및 인구감소 등으로 5개월 연속 감소, 특히 제조업・도소매업・운수창고업에서 주로 감소

* 15-29세 취업자 증감(전년동월비, 만명): (’22.3)17.7 (6) 10.4 (9) 1.6 (12)△2.5 (‘23.1)△5.1 (2)△12.5 (3)△8.9

* 15-29세 인구 증감(전년동월비, 만명): (’22.3)△19.2 … (9)△20.8 (12)△21.1 (‘23.1)△18.9 (2)△19.1 (3)△18.1

- 다만, 대면활동 확대 등으로 2월 대비 감소폭 축소하였고, 전월비로는 2개월 만에 큰 폭(+5.1만명) 증가

* 15-29세 취업자 증감(전월비, 만명, 계절조정): (’22.3)1.7 (6)△3.2 (9)△2.8 (12)1.1 (‘23.1)0.4 (2)△5.0 (3)5.1

상용직・전일제(36시간 이상) 중심 증가, 임시직・일시휴직자 감소


ㅇ (지위별) 상용직 중심으로 증가, 임시직은 감소세 유지

* 지위별 증감(‘23.2→3월, 전년동월비, 만명): (상용)47.0→49.7 (임시)△12.8→△7.5 (일용)△0.8→1.1

▪ 고용원有 자영업 지속 증가, 고용원無 자영업도 증가 전환

* 지위별 증감(‘23.2→3월, 전년동월비, 만명): (고용원 有 자영업)5.5→8.1 (고용원 無 자영업)△0.5→1.0

ㅇ (시간별) 전일제(36시간 이상) 근로자 증가, 일시휴직자 감소

* 시간대별 증감(‘23.2→3월, 전년동월비, 만명): (일시휴직)△5.5→△30.1 (1~17)1.1→△11.0 (18~35)12.0→4.4 (36↑)23.6→83.7

2

전망 및 대응방향


고용률・실업률안정적 흐름 유지, 취업자수 증가폭 불확실성 확대


ㅇ 고용률은 생산연령인구 감소 및 65세 이상 고용률 상승 등으로 인해 전년대비 소폭 상승 + 실업률은 작년과 유사한 수준 전망

ㅇ 최근 고용상황은 본격적인 일상회복에 따른 대면활동 증가, 돌봄수요 확대 등으로 서비스업 중심으로 양호한 흐름을 보이고 있으나,

▪ 향후 글로벌 금융불안, 주력 품목의 수출 부진 등 경기둔화, 생산연령인구 감소 등으로 인한 취업자수 증가폭 불확실성 상존

* 3월 기준 반도체 등 15대 주요 품목 중 자동차・이차전지를 제외한 13개 업종 전년동월비 수출액 감소

* 생산연령인구(15~64세) 증감(전년동월비, 만명): (‘22.3)△23.6 ‥ (12)△30.6 (’23.1)△27.7 (2)△28.2 (3)△27.1

고용동향 면밀 모니터링 + 미스매치 완화 등 민간 중심 고용창출 지원


➊ 「일자리 전담반(TF)」 중심으로 고용동향을 면밀히 점검하고, 旣 편성된 일자리 사업 조기 집행 등 고용둔화에 대비하여 선제 대응

➋ 현장 인력난 해소를 통한 일자리 미스매치 완화를 위해 구인난 호소가 큰 6대 업종* 및 추가 업종에 대해 지원방안 마련

* ‘22.3.8일 비상경제장관회의 통해 「빈일자리 해소방안」 旣 발표, 적극 추진 중

➌ 내수 활력 제고 지원, 업종별 수출・투자 지원* 등 경제활력 회복 노력을 지속하고, 노동시장 개혁도 속도감 있게 추진

➍ 청년, 여성, 고령층 등 고용 취약계층의 노동시장 참여를 촉진*하여 잠재인력의 노동공급을 통한 경제활동참가율 제고

장태민 기자 chang@changtaemin.com

<저작권자 © 장태민닷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를 공유하세요.

많이 본 뉴스

Memory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