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태민닷컴 장태민 기자] 대신증권은 22일 "채권시장이 그간 줄기차게 고대한 마지막 인상이란 신호를 확인한 것이 호재로서 작용하지 못했다"고 평가했다.
공동락 연구원은 "지난 3월 말 이후 한동안 박스권에 머물렀던 시중금리가 기존 박스권 상단을 벗어나려는 조짐을 보이고 있다"면서 이같이 진단했다.
공 연구원은 "이미 한국, 캐나다 등과 같이 사실상 기준금리 인상 사이클을 중단한 국가들이 나왔고, 최근에는 미국 연준(Fed) 역시도 기준금리 인상의 중단 가능성이 시사했다는 점을 감안하면 다소 상반된 금리 동향"이라고 해석했다.
그는 "기준금리 인상 사이클의 종료나 중단을 채권시장에 존재하는 여러 재료들 가운데 금리 하락 또는 상승 재료로 양분해 본다면 분명 금리가 하락하는재료로서의 의미가 크다"며 "하지만 이처럼 정성적인 재료에 대한 반응 경로와는 달리 최근 시장금리 동향을 놓고 보면 오히려 금리가 반등하는 재료로서의 역할을 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이 같은 상황에 대해 흔히 금융시장에서 종종 볼 수 있는 사전에 미리 예상되고 기대를 통해 선반영을 거치면 오히려 해당 재료가 확정되는 (소문에서 뉴스로 바뀌는) 순간에 가격이 정성적 방향과는 반대로 움직이는 속성이 작용하고 있다고 평가해 볼 수 있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