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태민닷컴 장태민 기자] 신한투자증권은 7일 "미국 고용지표가 예상을 웃돌앗으나 상호관세 강행 시 수요 위축에 따른 부정적 파급이 우려된다"고 밝혔다.
김찬희 엱구원은 "3월 고용지표는 1~2월 이상 기후 영향에서 벗어나 양호했다"면서 이같이 예상했다.
이번 고용지표에선 트럼프 정부의 효율화 정책에 따른 연방정부 취업자 감소 우려가 있었으나 주지방 정부 고용이 선방하며 정부 부문의 고용 급랭 또한 부재했다.
김 연구원은 "연방 공무원 해고 영향은 4월에도 반영이 예상된다. 챌린저가 집계한 3월 중 연방공무원 해고자 수는 21.6만명으로 고용동향 집계와 괴리가 크다"면서 "고강도 관세정책에 따른 부정적 파급 효과도 부담"이라고 밝혔다.
그는 "관세 대상국가들이 적극적으로 미국 내 생산시설 이전을 타진할 경우 제조업 일자리 확대를 기대할 수 있겠지만 현실화되더라도 중장기적인 효과"라며 "단기적으로 인플레이션 확대 및 소비심리 위축에 따른 수요 악화가 우려된다"고 밝혔다.
그는 "지금까지 미국이 부과한 관세로 약 60만명의 고용 감소가 추정된다. 고용 주체가 되는 기업 서베이 3월 ISM 제조업과 서비스업지수 내 고용 항목은 각각 44.7, 46.2로 하락했다"면서 "특히 서비스업이 전월대비 7.7pt 하락해 2020년 4월 코로나 당시 이후 가장 큰 낙폭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 미국 비농가취업자 22.8만명 증가, 실업률 4.2%로 상승
미국 3월 비농가취업자는 전월대비 22.8만명 늘며 컨센서스(+13.7만명)를 크게 상회했다. 직전 2개월 수치가 4.8만명 하향 조정됐음을 감안해도 견조한 수치였다. 가계 서베이는 전월과 비슷한 수준이 유지됐다. 경제활동참가율이 62.5%로 0.1%p 오르면서 실업률이 4.2%로 전월대비 0.1%p 상승했다. 대신 U-6(광의실업률)은 2021년 10월 최고치인 8.0%에서 0.1%p 후퇴해 7.9%를 기록했다.
산업별로 재화생산업 취업자는 전월대비 1.2만명 늘었고 민간 및 정부서비스는 각각 19.7만명, 1.9만명 늘었다. 재화생산업 내 건설업은 1.3만명 늘어 증가세가 유지됐고 제조업(+0.1만명)은 보합 수준에 그쳤다. 민간 서비스는 1~2월 이상 기후 영향 해소에 따른 기저효과로 회복됐다.
1~2월 부진했던 레저/접객(+4.3만명)과 소매업(+2.4만명)가 눈에 띄게 회복됐다. 기존에 양호했던 헬스케어및사회부조(+7.8만명)와 운수창고(+2.3만명), 금융(+0.9만명)도 꾸준한 고용이 이어졌다.
정보(-0.2만명)와 전문사업서비스(+0.3만명) 등 고임금 업종 수요는 부진했다. 정부(+1.9만명) 서비스 부문은 연방정부(-0.4만명) 인력 감축 영향에도 주지방 정부 중심의 고용이 하단을 지탱했다.
시간당 평균 임금은 전월대비 0.3%, 전년동월대비 3.8% 소폭 안정됐다. 아직까진 트럼프의 반이민 정책 등에도 노동시장 전반의 수급 여건 개선이 이어져 완만한 임금 안정을 뒷받침했다.
장태민 기자 chang@changtaem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