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 HBM, 가격 전망 하향 - 대신證

2025-07-17 08:26:29

[장태민닷컴 장태민 기자] * 가격 전망 변경. HBM은 HBM4 가격 프리미엄 축소 영향을 반영.

* AI의 리더인 SK하이닉스에 대한 투자의견을 바꿀 시점은 아니라 생각.

* 삼성전자는 여전히 좋은 주식이 될 수 있다는 판단.

■ 메모리반도체 가격 전망 변경

HBM은 HBM4 가격 프리미엄 축소 분을 반영하여 가격 전망을 하향. 범용 반도체의 경우, 4Q25-1Q26 가격 전망을 하향, 2Q26-3Q26 가격 전망을 상향.

1) HBM: HBM4 가격 프리미엄 축소 가능성을 반영하여 2026년 HBM ASP 전망을 하향 (기존: 2025년 대비 7%% 성장, 신규: 2025년 대비 6% 하락).

다만, 물량 성장 모멘텀은 지속. HBM4 수급은 여전히 타이트하고, HBM3e에서는 기존 예상 대비 물량이 확대될 것 (중국향 AI GPU 판매 재개, ASIC의 고성장 등). 선두 업체의 경우, 우수한 비용 구조를 감안 시, 가격 하락 속에서도 높은 수익성 (50% 이상의 영업이익률)을 유지 가능할 것이라는 판단.

2) 범용 반도체: 수급 환경만 놓고 보면, 4Q25가 Downturn의 시작이라 보기 어려우나, 2Q25 판매 확대로 높아진 기저 부담과 관세 정책의 역풍 (세트 실수요의 하락 Risk) 등을 감안할 필요. 이에, 가격은 짧게 나마 약세 구간에 진입 가능할 것. 다만, 겨울은 짧고, 약할 것. 생산 제약이 2026년에도 지속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고, 공급업계의 재고도 타이트. 가격 협상력을 쉽게 잃지 않을 환경. 이에, 시장은 사이클의 진폭 축소를 재차 목격할 가능성이 높다는 판단. 시장은 줄어드는 변동성에 더 높은 가치를 부여할 것이라 생각.

■ HBM4 가격 프리미엄의 축소, SK하이닉스를 팔아야 할 시점일까?

Valuation 관점에서 보면, 단기 Re-Rating은 제한될 것이라 생각. 그렇다면, 과거 대비 주식으로의 매력은 줄어들고 있다고 볼 수 있을 것. 다만, 투자의견을 Hold로 변경할 시점은 아니라 생각. 2026년 Big Tech 업계

의 Capex가 상향되었을 때, 가장 먼저 살 주식은 SK하이닉스이며, SK하이닉스가 AI 시장의 리더라는 사실에도 변함이 없음. 성공적인 선단공정 안착 효과로 우수한 비용 구조를 보유하고 있는 만큼 HBM 가격 하락 속에서도 우수한 수익성 (2026년 연간 HBM 영업이익률 55% 전망)을 유지할 수 있을 것.

중국향 AI GPU 수출 재개와 강한 ASIC향 수요 성장세, HBM4의 타이트한 수급 환경 등을 감안 시, 절대 영업이익의 성장 기회도 남아있다는 판단. AI의 Computing 비효율성 해결 노력이 지속되고 있는 만큼 HBM의 기술 혁신 기회는 남아있으며, 이 시장의 리더를 벌써 파는 것은 이르다고 생각.

■ 삼성전자는 어떻게 해야 할까?

여전히 좋은 주식은 될 수 있을 것이라 생각. 사업 경쟁력 개선 요인 (범용반도체 경쟁력 향상, 파운드리 적자 축소 등)이 일부 목격되고 있고, 비영업부문 (사업 효율화 노력, 추가 주주환원 기대감)에서의 개선 가치 등을 감안하면, 주가는 여전히 싸다고 판단.

금번 중국향 AI GPU 판매 재개로 그간의 선생산 후판매 기조로 쌓여왔던 HBM 재고 문제도 해결의 실마리가 일부 보이기 시작할 것이라는 판단

(류형근 대신증권 연구원)

[자료] HBM, 가격 전망 하향 - 대신證


장태민 기자 chang@changtaemin.com

<저작권자 © 장태민닷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를 공유하세요.

많이 본 뉴스

Memory

1/5